연속확률변수에서는 구간의 확률만 정의할 수 있고 개별 값에 대한 확률은 정의되지 않았습니다. 개별 값의 확률이 0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연속확률변수에서는 확률과 관련된 함수를 정의할 수 없는걸까요. 연속확률변수에서 구간의 확률을 정의할 수 있다는 성질을 이용하면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지난시간에 사용하던 예시를 가져옵시다. 먹으면 몸무게가 랜덤하게 60~100kg 으로 바뀌는 약이 있다고 합시다. 각 몸무게가 될 가능성은 동일합니다. 이때 약을 먹고 몸무게가 60이상 이하가 될 확률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확률은 얼마일까요? 위 구간의 길이인 을 전체 길이인 40으로 나눠주면 됩니다. 아래와 같습니다.
위 확률은 x까지 누적된 확률값을 계산해주는 함수입니다. 이런 함수를 누적분포함수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확률변수 X가 x보다 작을 확률입니다. 영어로는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CDF)라고 부릅니다.
일반화 시켜 봅시다. 구간이 인 확률변수가 있다고 합시다. 각 값이 될 가능성은 동일합니다. 확률변수 X의 누적분포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누적분포함수는 라는 기호를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습니다.
이렇게 누적분포함수를 배웠습니다. 연속확률변수에서 누적된 확률을 나타내는 함수입니다.
사람들은 누적분포함수를 미분하면 어떤 새로운 함수가 나타날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래서 누적분포함수를 미분해 보았더니,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새로운 함수에 대해 다음 시간에 알아보겠습니다.
강의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UtgUgfeR0ho
'@기초과목 > 확률과통계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 통계 기초] 3-32. 누적분포함수를 미분해보았다 (0) | 2024.11.28 |
---|---|
[확률과 통계 기초] 3-31. 확률은 아니지만 확률 같은 무언가 (0) | 2024.11.25 |
[확률과 통계 기초] 3-30. 가능성이 변하는 연속확률변수 (0) | 2024.11.16 |
[확률과 통계 기초] 3-29. 누적분포 함수 익숙해지기 (0) | 2024.11.14 |
[확률과 통계 기초] 3-27. 연속확률변수에서 구간의 확률은 정의할 수 있다 (2) | 2024.09.06 |
[확률과 통계 기초] 3-26. 연속확률변수에서는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이유 (4) | 2024.08.23 |
[확률과 통계 기초] 3-25. 연속확률변수 복습 (0) | 2024.08.12 |
[확률과 통계 기초] 3-24. 자료의 분산 vs 확률변수의 분산 (1) | 2024.07.29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