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OO의 이해/오즈비와 상대위험도의 이해2 [오즈비와 상대위험도의 이해] 2. 오즈가 왜 필요한가 지난시간에 오즈가 무엇인지 배웠습니다. 오즈는 아래와 같이 정의되며, 오즈가 크다는 것은 발생확률이 크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odds=p1−p 지난 시간 끝부분에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졌습니다. "어차피 발생확률을 비교하는게 목적이면, 그냥 발생 확률 p로 비교하면 되지 왜 굳이 오즈를 정의한거야?" 이 질문에 답을 하려면 오즈와 오즈비가 등장하게 된 과정을 알아야 합니다.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즈와 오즈비가 등장합니다. 1. 코호트 연구2. 상대위험도3. 사례-대조군 연구4. 상대위험도의 한계5. 오즈와 오즈비 오즈와 오즈비가 등장한 이유에 대해 결론만 짧게 말하면 이렇습니다. 코호트 연구에 사용하던 상대위험도를 사례-대조군 연구에 사용하려고 했을 때 문제가 발생했고, .. 2024. 8. 29. [오즈비와 상대위험도의 이해] 1. 오즈란 무엇인가 오즈비(Odds Ratio)와 상대위험도(Relative Risk)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강의입니다. 먼저 오즈비가 무엇인지부터 살펴보겠습니다. 오즈비란? 오즈비는 오즈(odds)의 비(ratio)입니다. 오즈비가 무엇인지 이해하려면 먼저 오즈(odds)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오즈란? 어떤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p라고 할 때, 오즈(odd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odds=p1−p 즉, 오즈는 사건이 발생할 확률을 발생하지 않을 확률로 나눈 값입니다. 오즈의 성질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면 odds도 증가합니다. 반대로, odds가 높다는 것은 해당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것을 의미합니다. 사건이 발생할 확률과 오즈의 관계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4. 8.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