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시간에 함께 해결해보려고 했던 궁금증을 다시 살펴봅시다.
먹으면 몸무게가 랜덤하게 60~100kg 사이로 변하는 약이 있다고 합시다. 이전 글에서는 약을 먹고 나서 각 몸무게로 변할 가능성이 동일하다고 했습니다. 60kg 로 변할 가능성과 100kg로 변할 가능성이 동일하다고 놓은 것입니다.
이번에는 생각을 달리해봅시다. 60kg으로 변할 가능성이 가장 낮고, 100kg로 갈 수록 가능성이 서서히 높아지다가 100kg 으로 변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해봅시다. 약을 먹었을 때 변한 몸무게를 확률변수 X라고 놓겠습니다.
확률변수 X의 누적분포함수는 어떻게 구할까요?
잠깐 시간을 갖고 한번 시도해 보세요.
(몇분 뒤)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내용만 가지고는 구하기가 쉽지 않다는걸 느끼셨을 것입니다. 여기서 한 단계 도약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통해 한가지 사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연속확률변수도 확률과 비슷한 어떤 값을 갖고 있다는 것입니다. 위 예제에서는 ‘가능성’이란 말을 붙였는데요. 60kg 가 될 가능성과 100kg가 될 가능성을 다르다고 놓았습니다. 이 값은 분명 확률은 아닙니다. 확률이 아닌 이유는 이전에도 다뤘습니다. 연속확률변수가 확률을 갖는 순간 전체 확률이 무한대가 되기 때문에 확률은 아닙니다. 하지만 확률과 비슷한 무언가, 우리가 가능성이라고 부르는 그 무언가가 분명 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그 무언가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반응형
'@기초과목 > 확률과통계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 통계 기초] 3-32. 누적분포함수를 미분해보았다 (0) | 2024.11.28 |
---|---|
[확률과 통계 기초] 3-31. 확률은 아니지만 확률 같은 무언가 (0) | 2024.11.25 |
[확률과 통계 기초] 3-29. 누적분포 함수 익숙해지기 (0) | 2024.11.14 |
[확률과 통계 기초] 3-28. 연속확률변수의 누적분포함수 (0) | 2024.11.04 |
[확률과 통계 기초] 3-27. 연속확률변수에서 구간의 확률은 정의할 수 있다 (2) | 2024.09.06 |
[확률과 통계 기초] 3-26. 연속확률변수에서는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이유 (4) | 2024.08.23 |
[확률과 통계 기초] 3-25. 연속확률변수 복습 (0) | 2024.08.12 |
[확률과 통계 기초] 3-24. 자료의 분산 vs 확률변수의 분산 (1) | 2024.07.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