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산확률변수는 아래 두가지 특징을 갖는 확률 변수 입니다.
1) 변수가 어떤 값을 가질 확률을 정의할 수 있음
2) 변수가 될 수 있는 값들을 셀 수 있음
이와 같은 특징을 보고 나면 이산확률변수가 될 수 있는 값들의 개수가 반드시 유한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주사위를 던질 때 나오는 눈의 값을 확률변수로 하는 경우나, 동전을 두번 던져서 앞면이 나오는 횟수를 확률변수로 하는 경우와 같이 많은 경우 확률변수가 될 수 있는 값의 개수가 유한한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개수가 무한한 경우도 있습니다. 오늘은 이산확률변수가 될 수 있는 값들의 개수가 무한한 예시를 하나 살펴봅시다.
이산확률변수가 모든 자연수 값을 가질 수 있다고 합시다. 이때 각 값이 발생할 확률을 아래와 같이 정의하겠습니다.
P[X=x]=(12)x
함수 형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pX(x)=(12)x
limn→∞∑nx=1(12)x
전체 확률의 합이 1이 되면 위와 같은 확률변수는 존재할 수 있습니다. 전체 확률의 합은 아래와 같이 구합니다.
limn→∞∑nx=1(12)x
등비수열의 합 공식을 적용해줍니다.
limn→∞∑nx=1(12)x=limn→∞12(1−12n)1−12
극한값은 아래와 같습니다.
limn→∞∑nx=1(12)x=1
전체 확률의 합이 1이므로 위와 이 무한히 많은 값을 가질 수 있는 확률변수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강의영상
반응형
'@기초과목 > 확률과통계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통계 기초] 3-10. P[X=x] 와 p(x)의 차이 (0) | 2023.12.08 |
---|---|
[확률과통계 기초] 3-9. 확률질량함수의 성질 (0) | 2023.11.15 |
[확률과통계 기초] 3-8. 확률질량함수 (이산확률변수의 확률함수) (0) | 2023.11.15 |
[확률과통계 기초] 3-7. 연속확률변수에서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이유 (0) | 2023.08.04 |
[확률과통계 기초] 3-5. 두 종류의 확률변수 (이산, 연속) (0) | 2023.07.17 |
[확률과통계 기초] 3-4.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확률변수 (0) | 2023.07.09 |
[확률과통계 기초] 3-3. 확률함수와 확률분포 (0) | 2023.07.02 |
[확률과통계 기초] 3-2. 확률변수와 확률 (P[X=x] 의 의미) (0) | 2023.06.12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