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특성함수는 확률밀도함수에 퓨리에변환을 적용한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그리스어 phi 를 기호로 사용합니다. 비교를 위해 적률생성함수도 나란히 써보겠습니다.
특성함수는 적률생성함수에서 t자리에 it 가 대신 들어간 것입니다.
적률생성함수처럼 특성함수도 확률밀도함수마다 고유합니다. 두 확률변수의 특성함수가 같다면 확률밀도함수도 같습니다.
둘의 결정적인 차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특성함수는 적률생성함수와 달리 모든 확률분포에 대해 존재합니다.
반응형
'@ 통계학 석박사 진학관련 > 수리통계학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통계학] #41. 주변확률분포 (0) | 2023.02.13 |
---|---|
[수리통계학] #40. 이변량 확률분포 (결합확률분포) (0) | 2023.02.13 |
[수리통계학] #39. 특성함수가 항상 존재함을 증명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8. 특성함수가 같으면 같은 분포일까? (유일성)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6. 적률생성함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3) | 2022.07.06 |
[수리통계학] #35. 적률생성함수가 같은면 같은 분포일까 (유일성)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4. 적률생성함수란 무엇인가 (0) | 2022.07.04 |
[수리통계학] #33. 연속확률변수의 변수변환 (일대일 대응) (0) | 2022.06.30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