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확률변수 X의 확률밀도함수가 f(x) 일 때, 특성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varphi_{X}(t)=\int_{-\infty}^{\infty}e^{itX}f(x)dx$
양변에 절댓값을 씌워줍시다.
$\left | \varphi_{X}(t) \right |=\left | \int_{-\infty}^{\infty}e^{itX}f(x)dx \right |$
아래 부등식이 성립합니다. 복소해석학 내용입니다. 증명은 글 맨 아래 첨부한 링크를 참고하세요.
$\left | \varphi_{X}(t) \right |=\left | \int_{-\infty}^{\infty}e^{itX}f(x)dx \right |\leq
\int_{-\infty}^{\infty}\left | e^{itX}f(x) \right |dx$
맨 오른쪽 항은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left | \varphi_{X}(t) \right |=\left | \int_{-\infty}^{\infty}e^{itX}f(x)dx \right |\leq
\int_{-\infty}^{\infty}\left | e^{itX} \right |\left | f(x) \right | dx$
$e^{itX}$의 크기는 1이므로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left | \varphi_{X}(t) \right |=\left | \int_{-\infty}^{\infty}e^{itX}f(x)dx \right |\leq
\int_{-\infty}^{\infty}\left | f(x) \right | dx$
맨 오른쪽 항은 확률분포를 전체 구간에 대해 적분한 것이므로 1입니다.
$\left | \varphi_{X}(t) \right |=\left | \int_{-\infty}^{\infty}e^{itX}f(x)dx \right |\leq
1$
따라서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
$\left | \varphi_{X}(t) \right | \leq
1$
특성함수는 항상 수렴합니다.
Rerefence
1. 복소수 부등식 증명 링크
https://proofwiki.org/wiki/Modulus_of_Complex_Integral
'@ 통계학 석박사 진학관련 > 수리통계학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통계학] #42. 이변량 분포 변환 (transformation) (1) | 2023.02.14 |
---|---|
[수리통계학] #41. 주변확률분포 (0) | 2023.02.13 |
[수리통계학] #40. 이변량 확률분포 (결합확률분포) (0) | 2023.02.13 |
[수리통계학] #38. 특성함수가 같으면 같은 분포일까? (유일성)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7. 특성함수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6. 적률생성함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3) | 2022.07.06 |
[수리통계학] #35. 적률생성함수가 같은면 같은 분포일까 (유일성)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4. 적률생성함수란 무엇인가 (0) | 2022.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