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24강에서 확률변수가 무엇인지 배웠습니다. 확률변수는 표본공간의 원소를 실수에 대응시키는 함수입니다.
26~27강에서는 확률분포함수를 배웠습니다. 확률분포는 확률변수를 확률에 대응시키는 함수입니다.
오늘은 이변량 확률분포를 배울 것인데요. 이변량 확률분포는 확률변수의 쌍을 확률에 대응시키는 함수입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주사위를 두개 던지는 시행에서 표본공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S={HH,HT,TH,TT}$
두 확률변수 $X_{1}$과 $X_{2}$ 를 아래와 같이 정의합시다.
$X_{1}$ : 앞면이 나온 횟수
$X_{2}$ : 뒷면이 나온 횟수
순서쌍 $(X_{1},X_{2})$ 의 집합을 D라고 한다면, D는 아래와 같습니다.
$D=\left \{ (2,1),(1,1),(0,2) \right \}$
확률분포함수를 $p_{X_{1},X_{2}}(x_{1},x_{2})$ 라고 한다면 아래 표와 같이 정의됩니다.
$X_{1}$ | ||||
0 | 1 | 2 | ||
$X_{2}$ | 0 | 0 | 0 | $\frac{1}{3}$ |
1 | 0 | $\frac{1}{3}$ | 0 | |
2 | $\frac{1}{3}$ | 0 | 0 |
일반화시켜봅시다.
이산확률변수
만약 확률변수가 이산확률변수라면 확률변수 $(X_{1},X_{2})$의 확률질량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결합확률질량함수(joint probability mass functino) 라고 부릅니다.
$p_{X_{1},X_{2}}(x_{1},x_{2})=P\left [ \left \{ X_{1} = x_{1} \right \}\cap \left \{ X_{2} =x_{2} \right \} \right ]$
결합누적분포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F_{X_{1},X_{2}}(x_{1},x_{2})=P\left [ \left \{ X_{1} \leq x_{1} \right \}\cap \left \{ X_{2} \leq x_{2} \right \} \right ]$
교집합 기호 대신 주로 콤마를 합니다.
연속확률변수
만약 확률변수가 연속확률변수라면 확률변수 $(X_{1},X_{2})$의 결합누적분포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연속확률변수에서는 누적분포함수가 먼저 정의됩니다.
$F_{X_{1},X_{2}}(x_{1},x_{2})=\int_{-\infty}^{x_{1}}\int_{-\infty}^{x_{2}}f_{X_{1},X_{2}}(w_{1},w_{2})dw_{1}dw_{2}$
결합확률밀도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f_{X_{1},X_{2}}(x_{1},x_{2})=\frac{ \partial^2 F_{X_{1},X_{2}}(x_{1},x_{2})}{\partial x_{1}\partial x_{2} }$
'@ 통계학 석박사 진학관련 > 수리통계학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통계학] #42. 이변량 분포 변환 (transformation) (1) | 2023.02.14 |
---|---|
[수리통계학] #41. 주변확률분포 (0) | 2023.02.13 |
[수리통계학] #39. 특성함수가 항상 존재함을 증명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8. 특성함수가 같으면 같은 분포일까? (유일성)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7. 특성함수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6. 적률생성함수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3) | 2022.07.06 |
[수리통계학] #35. 적률생성함수가 같은면 같은 분포일까 (유일성) (0) | 2022.07.06 |
[수리통계학] #34. 적률생성함수란 무엇인가 (0) | 2022.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