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질량함수
표본공간 S가 아래와 같다고 합시다. 어떤 실험을 했고, 발생한 사건들의 집합입니다.
$S=\left \{ c_{1},c_{2},...,c_{n} \right \}$
이 실험에서 확률변수 X를 정의했고, X가 가질 수 있는 값은 아래와 같다고 합시다.
$X=\left \{ x_{1},x_{2},...,x_{m} \right \}$
이때 확률변수 $x_{i}$와 이 확률변수가 발생할 확률을 연결하는 함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를 확률함수라고 부릅니다.
확률변수 → (확률함수) → 확률
확률변수가 이산확률변수인 경우에는 이러한 확률함수를 확률질량함수라고 부릅니다. 연속확률변수인 경우는 확률밀도함수라고 부르는데 다음 글에서 다루겠습니다.
이산확률변수의 확률함수 : 확률질량함수
연속확률변수의 확률함수 : 확률밀도함수
(왜 질량과 밀도라는 말이 붙었나 설명해놓은 글)이산확률변수의 확률함수인 확률질량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p(x_{i})=P(X=x_{i})=P[\left \{ c:X(c)=x_{i} \right \}] \qquad for \ i=1,..,m$
가장 우변의 수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확률변수가 $x_{i}$가 되는 사건은 하나일 수도 있고, 여럿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확률변수 $x_{i}$ 에 해당되는 사건들을 조건제시법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예시를 통해 더 이해해봅시다.
예시
동전을 세번 던질 때, 앞면이 나온 수
실험 : 동전 세번 던짐
표본공간 : S={HHH,HHT,HTH,THH,HTT,THT,TTH,TTT}
확률변수 : 앞면이 나온 수
표본공간의 원소가 발생할 확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P(\left \{ HHH \right \})=\frac{1}{8}$
$P(\left \{ HHT \right \})=\frac{1}{8}$
$P(\left \{ HTH\right \})=\frac{1}{8}$
$P(\left \{ THH \right \})=\frac{1}{8}$
$P(\left \{ HTT \right \})=\frac{1}{8}$
$P(\left \{ THT \right \})=\frac{1}{8}$
$P(\left \{ TTH \right \})=\frac{1}{8}$
$P(\left \{ TTT \right \})=\frac{1}{8}$
확률변수를 X라고 하면 아래 값들을 갖습니다.
$X(HHH)=3$
$X(HHT)=2$
$X(HTH)=2$
$X(THH)=2$
$X(HTT)=1$
$X(THT)=1$
$X(TTH)=1$
$X(TTT)=0$
확률변수 X가 가질 수 있는 값은 네가지입니다. 집합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X={0,1,2,3}$
확률변수를 이용하여 나타내기 위해 함수를 하나 정의하겠습니다. $p(x)$라는 함수입니다.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갖습니다.
$p(1)=P(\left \{ c\in S:X(c)=1 \right \})$
조건제시법을 원소나열법으로 쓰면 아래와 같습니다.
$p(1)=P({HTT,THT,TTH})$
'@ 통계학 석박사 진학관련 > 수리통계학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통계학] #30. 역누적분포함수 (0) | 2021.06.11 |
---|---|
[수리통계학] #29. 누적분포함수 예시 (0) | 2021.03.15 |
[수리통계학] #28. 누적분포함수 (0) | 2021.03.11 |
[수리통계학] #27. 확률밀도함수 (0) | 2021.03.10 |
[수리통계학] #25. 이산확률변수, 연속확률변수 (0) | 2021.03.05 |
[수리통계학] #24. 확률변수의 정의 (2) | 2021.03.02 |
[수리통계학] #23. 사건 A와 B가 독립이면, A여집합과 B도 독립일까 (2) | 2021.03.02 |
[수리통계학] #22. 두 사건의 독립 (4) | 2021.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