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에서의 포함배제의 원리는 9강과 10강에서 살펴본 합집합의 확률공식을 일반화한 것입니다. 포함배제의 공식(Inclusion–exclusion formula)이라고도 부릅니다.
집합이 2개인 경우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P\left ( A\cup B \right )=P\left ( A \right )+P\left ( B \right )-P\left (AB \right )$
집합이 세개인 경우는 아래 등식이 성립합니다.
$P(A \cup B \cup C)=P(A)+P(B)+P(C)-P(A \cap B)-P(A \cap C)-P(B \cap C)+P(A \cap B \cap C)$
집합이 4개인 경우는 어떨까요?
$\begin{align} \\&P(A \cup B \cup C \cup D)=P(A)+P(B)+P(C)+P(D) \\&-P(A \cap B)-P(A \cap C)-P(A \cap D)-P(B \cap C)-P(B \cap D)-P(C \cap D) \\&+P(A \cap B \cap C)+P(A \cap B \cap D)+P(A \cap C \cap D)+P(B \cap C \cap D)\\&-P(A \cap B \cap C \cap D) \end{align}$
일반화시키면 아래와 같습니다.
$P(A_{1} \cup \cdots \cup A_{n} )=\sum_{i=1}^{n}P(A_{n})-\sum_{1\leq i< j\leq n}^{}P(A_{i}\cap A_{j}) + \\ \sum_{1\leq i< j<k\leq n}^{}P(A_{i} \cap A_{j} \cap A_{k})-\cdots +\left ( -1 \right )^{n-1}P(A_{1} \cap \cdots \cap A_{n})$
'@ 통계학 석박사 진학관련 > 수리통계학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통계학] #17. 베이즈정리 유도 (Bayes' theorem) (2) | 2021.03.01 |
---|---|
[수리통계학] #16. 전확률공식 (3) | 2021.02.27 |
[수리통계학] #15. 전체포괄(Collectively Exhaustive), 상호배반(Mutually Exclusive), 분할(Partition) (0) | 2021.02.27 |
[수리통계학] #14. 조건부확률, 곱셉공식 (0) | 2021.02.27 |
[수리통계학] #12. 부울의 부등식 (Boole's inequality) (0) | 2021.02.26 |
[수리통계학] #11. 단조증과 단조감소 집합의 확률 (2) | 2021.02.26 |
[수리통계학] #10. 합집합의 확률 공식을 수식으로 증명(집합3개) (0) | 2021.02.26 |
[수리통계학] #9. 합집합의 확률 공식을 수식으로 증명(집합2개) (2) | 2021.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