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ample space : 표본공간, 전체집합
sample outcome : 표본공간의 원소
realization : 표본공간의 원소
element : 표본공간의 원소
complement A : A의 여집합
disjoint : 교집합이 없음, 배반임
mutually exclusive : 교집합이 없음, 배반임
monotone increasing : A1, A2, A3, .... 에서 A1 ⊂ A2 ⊂ A3... 관계가 성립
monotone decreasing : monotone increasing 의 반대
bivariate distrituion : 이변량 분포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이제곱검정도 양측검정이 있을까? (0) | 2022.04.01 |
---|---|
균등분포로 동전 던지기 확률, 주사위 던지기 확률 생성하기 (0) | 2021.12.31 |
로버스트 통계 방법이란 무엇인가 (0) | 2021.12.30 |
상자수염그림에서 이상점(outlier)이란? (0) | 2021.12.30 |
이항분포, 정규분포, 푸아송분포의 관계 (1) | 2021.11.19 |
양측검정과 단측검정의 검정력은 같을까 다를까 (5) | 2021.11.12 |
X가 U(0,1)인 균등분포를 따르면 1-X 도 그럴까 (0) | 2021.10.21 |
p값의 분포는 왜 균등분포일까 (distribution of p-value) (0) | 2021.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