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늘 증명해볼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X가 U(0,1)인 균등분포를 따르면 1-X 도 그럴까
직관적으로 당연하지만 수식으로 증명해보겠습니다. 두 확률분포의 적률생성함수가 같다면 두 확률변수는 같다는 성질을 이용하여 증명하겠습니다.
먼저 U(0,1)을 따르는 확률변수 X의 적률생성함수를 유도하겠습니다. X의 적률생성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MX(t)=E[etX]=∫∞−∞etxf(x)dx
x는 0과 1 사이에서만 1이라는 값을 가지므로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E[etX]=∫10etxdx
적분합시다.
MX(t)=E[etX]=[etxt]10=et−1t
이번에는 1-X의 적률생성함수를 유도합시다.
MX(t)=E[et(1−X)]=∫∞−∞et(1−x)f(x)dx
적분과 무관한 항을 밖으로 꺼내줍니다.
MX(t)=E[et(1−X)]=et∫∞−∞e−txf(x)dx
x는 0과 1 사이에서만 1이라는 값을 가지므로 아래와 같이 변형됩니다.
MX(t)=E[et(1−X)]=et∫10e−txdx
적분합시다.
MX(t)=E[et(1−X)]=et[−e−txt]10=et⋅−e−t+1t=et−1t
X와 1-X 의 적률생성함수가 같습니다. 따라서 X가 U(0,1) 을 따르면 1-X도 U(0,1)을 따릅니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자수염그림에서 이상점(outlier)이란? (0) | 2021.12.30 |
---|---|
통계 영문자료를 이해하기 위한 통계 용어와 해석 모음(지속적 업데이트) (0) | 2021.12.02 |
이항분포, 정규분포, 푸아송분포의 관계 (1) | 2021.11.19 |
양측검정과 단측검정의 검정력은 같을까 다를까 (5) | 2021.11.12 |
p값의 분포는 왜 균등분포일까 (distribution of p-value) (0) | 2021.10.21 |
p값에 대한 미국통계협회의 입장발표 (이거 계속 써도 되는겨?) (0) | 2021.10.20 |
평균과 중앙값의 비교와 그래프의 치우침 (0) | 2021.10.19 |
표준편차 vs 평균절대편차 vs 중앙값절대편차 (극단값 민감성 비교) (0) | 2021.10.19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