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소개
이항분포는 시행의 결과가 두가지입니다.
'사건의 발생, 사건이 발생하지 않음'
주사위를 예로 들면 시행의 결과가 아래와 같이 둘로 나뉘는 것입니다.
- 6의 눈이 발생
- 6의 눈이 발생하지 않음
시행을 10번 했을 때 6의 눈이 3번 나올 확률 등이 이항분포의 확률에 해당됩니다. 확률을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반면에 다항분포는 시행의 결과가 셋 이상입니다.
주사위를 예로 들면 시행의 결과가 아래와 같이 나뉘는 경우가 다항분포가 됩니다
- 1의 눈이 발생
- 2이상 4이하의 눈이 발생
- 5의 눈이 발생
- 6의 눈이 발생
시행을 10번 했을 때 1의 눈이 3번, 2이상 4이하 눈이 5번, 5의 눈이 1번, 6의 눈이 1번 나올 확률이 다항분포에 해당됩니다. 확률을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다항분포의 확률분포함수를 유도해봅시다.
반응형
'@ 필수과목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다항분포 (5) 독립변수의 개수 (0) | 2020.02.11 |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다항분포 (4) 평균과 분산 (2) | 2020.02.07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다항분포 (3) 예시 (0) | 2020.02.06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다항분포 (2) 유도 (0) | 2020.01.15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초기하분포 (8) 이항분포로의 근사 (0) | 2020.01.07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초기하분포 (7) 이항분포와의 차이 (1) | 2020.01.07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초기하분포 (6) 이름에 '초기하'가 붙은 이유 (0) | 2019.12.28 |
[손으로 푸는 확률분포] 초기하분포 (5) 그래프 (3) | 2019.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