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는 지난시간에 표준편차가 아래와 같이 정의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σ[X]=√∑ni=1(xi−m)2pi
표준편차에는 왜 그리스어 시그마를 사용하는걸까요.
표준편차는 영어로 standard deviation 입니다. 첫 글자인 s를 따서 지으려고 하다가 그리스어가 더 멋있어 보였던것 같습니다. 아니면 그리스어를 따서 이름을 붙이는 유행(?)같은게 있었을 수도 있구요.
영어 s와 발음이 같은 그리스어 시그마의 소문자 σ 를 표준편차를 나타내는 기호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대문자 시그마 ∑는 합의 시그마기호로 사용된다는걸 배웠었죠.
이후에 모집단과 표본을 배우게 되면 표준편차 기호가 하나 더 필요해집니다. 이때부터는 모집단의 표준편차를 σ, 표본의 표준편차를 s 로 사용합니다. 나중에 다시 배워봅시다.
https://www.youtube.com/watch?v=rCLeif6vnFE
반응형
'@기초과목 > 확률과통계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확률과 통계 기초] 3-27. 연속확률변수에서 구간의 확률은 정의할 수 있다 (2) | 2024.09.06 |
---|---|
[확률과 통계 기초] 3-26. 연속확률변수에서는 확률이 정의되지 않는 이유 (4) | 2024.08.23 |
[확률과 통계 기초] 3-25. 연속확률변수 복습 (0) | 2024.08.12 |
[확률과 통계 기초] 3-24. 자료의 분산 vs 확률변수의 분산 (1) | 2024.07.29 |
[확률과 통계 기초] 3-22. 확률변수의 분산과 표준편차 (0) | 2024.07.17 |
[확률과 통계 기초] 3-21. 분산과 표준편차 (0) | 2024.06.26 |
[확률과 통계 기초] 3-20. 합의 시그마 기호 설명 (0) | 2024.06.21 |
[확률과 통계 기초] 3-19. 기댓값과 평균은 같을까 다를까? (0) | 2024.06.21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