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 X와 Y가 있다고 합시다. 각 확률변수의 분포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두 확률변수 X와 Y가 서로 독립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우리가 굼금한 것은 X+Y의 분포입니다. X+Y의 분포는 특성함수를 이용해서 유도할 것입니다. 확률변수 X와 Y의 특성함수를 먼저 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확률변수 X+Y의 특성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우변 대괄호 안의 식을 아래와 같이 둘로 나눠서 쓸 수 있습니다.
두 변수 X와 Y가 서로 독립이므로 기댓값을 아래와 같이 분리할 수 있습니다.
위 식 우변의 각 항은 확률변수 X와 Y의 특성함수입니다. 위에서 구한 확률변수 X와 Y의 특성함수 수식을 대입합니다.
우변을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위 식 우변의 특성함수는 평균이 이고 분산이 인 정규분포의 특성함수입니다. 따라서 확률변수 X+Y의 확률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일반화 시켜 봅시다.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가 n개 있다고 합시다. 이 확률변수들의 합의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본 크기가 커지면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문제 (0) | 2023.09.19 |
---|---|
머신러닝과 데이터마이닝의 차이 (0) | 2023.08.01 |
최빈값은 언제 쓸까? (mode) (0) | 2023.06.28 |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면 표본평균은 항상 정규분포를 따를까? (0) | 2023.01.14 |
평균이 좋은 대푯값이 아닌 경우 (0) | 2023.01.12 |
표본의 크기 결정 방법 수식 설명 및 유도 (0) | 2023.01.11 |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외우는 법 (1) | 2022.12.27 |
비복원추출인 경우 표본평균의 평균과 분산 (유도링크 추후 보완예정) (3) | 2022.12.20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