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 X와 Y가 있다고 합시다. 각 확률변수의 분포는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X \sim N\left (\mu_{X},\sigma_{X}^2 \right )$
$Y \sim N\left (\mu_{Y},\sigma_{Y}^2 \right )$
두 확률변수 X와 Y가 서로 독립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 우리가 굼금한 것은 X+Y의 분포입니다. X+Y의 분포는 특성함수를 이용해서 유도할 것입니다. 확률변수 X와 Y의 특성함수를 먼저 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varphi_{X}(t)=E\left [ e^{itX} \right ]=e^{it\mu_{X}-\frac{\sigma_{X}^2t^2}{2}}$
$\varphi_{Y}(t)=E\left [ e^{itY} \right ]=e^{it\mu_{Y}-\frac{\sigma_{Y}^2t^2}{2}}$
확률변수 X+Y의 특성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됩니다.
$\varphi_{X+Y}(t)=E\left [ e^{it(X+Y)} \right ]$
우변 대괄호 안의 식을 아래와 같이 둘로 나눠서 쓸 수 있습니다.
$\varphi_{X+Y}(t)=E\left [ e^{itX}e^{itY} \right ]$
두 변수 X와 Y가 서로 독립이므로 기댓값을 아래와 같이 분리할 수 있습니다.
$\varphi_{X+Y}(t)=E\left [ e^{itX} \right ]E\left [ e^{itY} \right ]$
위 식 우변의 각 항은 확률변수 X와 Y의 특성함수입니다. 위에서 구한 확률변수 X와 Y의 특성함수 수식을 대입합니다.
$\varphi_{X+Y}(t)=e^{it\mu_{X}-\frac{\sigma_{X}^2t^2}{2}}e^{it\mu_{Y}-\frac{\sigma_{Y}^2t^2}{2}}$
우변을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varphi_{X+Y}(t)=e^{it \left ( \mu_{X}+\mu_{Y} \right )-\frac{\left ( \sigma_{X}^2+\sigma_{Y }^2 \right )t^2}{2}}$
위 식 우변의 특성함수는 평균이 $\mu_{X}+\mu_{Y}$이고 분산이 $\sigma_{X}^2+\sigma_{Y }^2$ 인 정규분포의 특성함수입니다. 따라서 확률변수 X+Y의 확률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X+Y \sim N\left ( \mu_{X}+\mu_{Y},\sigma_{X}^2+\sigma_{Y }^2 \right )$
일반화 시켜 봅시다.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가 n개 있다고 합시다. 이 확률변수들의 합의 분포는 아래와 같습니다.
$\sum_{i=1}^{n}X_{i} \sim N\left ( \sum_{i=1}^{n}\mu_{X_{i}},\sum_{i=1}^{n}\sigma_{X_{i}}^2 \right )$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본 크기가 커지면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문제 (0) | 2023.09.19 |
---|---|
머신러닝과 데이터마이닝의 차이 (0) | 2023.08.01 |
최빈값은 언제 쓸까? (mode) (0) | 2023.06.28 |
모집단이 정규분포를 따르면 표본평균은 항상 정규분포를 따를까? (0) | 2023.01.14 |
평균이 좋은 대푯값이 아닌 경우 (0) | 2023.01.12 |
표본의 크기 결정 방법 수식 설명 및 유도 (0) | 2023.01.11 |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외우는 법 (0) | 2022.12.27 |
비복원추출인 경우 표본평균의 평균과 분산 (유도링크 추후 보완예정) (3) | 2022.1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