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확률변수는 실수 구간에서 정의된 확률변수입니다. 아래 구간에서 임의로 하나의 실수 값을 출력해주는 기계를 만들었다고 합시다.
각 숫자가 나올 확률은 동일하다고 합시다. 이때 숫자들이 각각 발생할 확률을 갖는다면 확률 전체의 합이 1이 될 수 없습니다. 확률 전체의 합이 무한대가 됩니다. 따라서 각 숫자들은 확률을 가질 수 없습니다. 대신 범위는 확률을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은 전체 영역의 1/3이므로, 발생 확률이 1/3입니다. 기호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때 누적적분포함수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위 확률변수의 누적분포 함수를 F(x) 라고 놓겠습니다.
연속확률변수의 누적분포함수에서는 미분을 적용할 수가 있습니다. 미분가능의 조건은 '연속'입니다. 따라서 이산확률변수에서는 미분이 불가능하지만 연속확률변수에서는 미분이 가능합니다. 연속확률변수의 누적분포함수를 한번 미분해 봅시다.
이 함수는 어떤 의미를 가질까요? 위 함수를 일단 라고 놓고 아래 적분의 의미를 생각해봅시다.
위 적분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F(b)와 F(a) 는 각각 아래와 같습니다.
따라서 는 입니다. 우리가 유도하던 식에 대입합시다.
확률밀도함수를 어떤 구간에 대해 적분하면 해당 구간에서 사건이 발생할 확률값을 구해줍니다. 확률밀도함수를 두가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연속확률변수의 누적분포함수를 미분한 함수
2) 어떤 구간에 대해 적분한 결과가 해당 구간에서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되는 함수
강의 영상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산 vs 연속확률변수 (2) 원소 개수 (0) | 2022.07.31 |
---|---|
이산 vs 연속확률변수 (1) 구별 방법 (0) | 2022.07.28 |
중심극한정리가 헷갈리시는 분들을 위한 극단적인 예시 (0) | 2022.07.28 |
Welch two sample t-test 가 뭔가요? (0) | 2022.07.10 |
통계에서 interobeserver, intraobserver 차이 (0) | 2021.08.10 |
무료 엑셀 통계분석 강의 추천 (직접 끝까지 다들어봄) (0) | 2021.04.24 |
순서도 그려주는 무료 프로그램 (diagrams) (0) | 2021.03.18 |
1종오류, 2종오류, 유의수준, 표준편차, 표본크기 사이의 관계 (직관적 설명ver) (2) | 2020.11.30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