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짝수눈과 홀수눈이 나오는 사건은 배반사건일까요?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습니다.
주사위를 한번 던질 때, 홀수눈이 나오는 사건과 짝수눈이 나오는 사건은 배반사건입니다. 홀수눈이 나오면 짝수눈은 나올 수 없기 때문입니다.
주사위를 두 개로 늘려봅시다. 주사위 A와 주사위 B가 있습니다. 두 주사위를 던질 때 주사위 A에서 홀수 눈이 나오는 사건과, 주사위 B에서 짝수 눈이 나오는 사건은 배반사건이 아닙니다. 서로 전혀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둘은 서로 독립관계입니다.
배반사건으로 보이는데 알고 보면 독립사건이라 헷갈릴 때가 있는데요. 위와 같이 구분을 해놓으면 덜 헷갈립니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F test (F검정) 은 도데체 언제 쓰는걸까?? (2) | 2022.07.09 |
---|---|
적률생성함수 vs 특성함수 (0) | 2022.07.09 |
기댓값이 무한대인 확률변수 (0) | 2022.07.06 |
[확률과통계] 독립사건의 두 가지 맥락 (0) | 2022.05.18 |
자유도란 무엇이며, 표본과 모집단의 평균과 분산의 자유도는 무엇인가 (1) | 2022.05.12 |
z분포 vs t분포 (0) | 2022.05.09 |
히스토그램 간격 설정 원리 (0) | 2022.05.02 |
분산 구하는 두 가지 방법 (제곱의평균-평균의제곱 유도) (0) | 2022.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