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나 쓸 일은 거의 없습니다. 카이제곱검정은 단측 검정만 사용합니다.
카이제곱검정은 관측빈도와 기대빈도가 다른지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하는 검정입니다. 예를 들어 20대와 30대의 핸드폰 선호 비율을 비교할 때 사용합니다. 우측 꼬리 검정이 사용됩니다. 카이제곱분포의 우측으로 갈 수록 기대빈도와 관측빈도가 달라지고, 좌측을 갈 수록 같아집니다. 기대빈도와 관측빈도가 완전히 같으면 확률변수가 0이 됩니다.
만약 좌측 꼬리검정을 한다면 의미가 이상해집니다. 관측빈도와 기대빈도가 너무 같아서 기각해버리는 상황이 됩니다. 이런 검정을 쓸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규분포 그래프를 보면 양쪽 꼬리로 갈 수록 귀무가설의 모평균과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단측 검정이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나 카이제곱분포는 우측으로 갈 수록 달라지기 때문에 오른쪽 꼬리 단측검정만 의미가 있습니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z분포 vs t분포 (0) | 2022.05.09 |
---|---|
히스토그램 간격 설정 원리 (0) | 2022.05.02 |
분산 구하는 두 가지 방법 (제곱의평균-평균의제곱 유도) (0) | 2022.04.27 |
회귀분석 한번에 감잡기 (F값, t값) (0) | 2022.04.14 |
균등분포로 동전 던지기 확률, 주사위 던지기 확률 생성하기 (0) | 2021.12.31 |
로버스트 통계 방법이란 무엇인가 (0) | 2021.12.30 |
상자수염그림에서 이상점(outlier)이란? (0) | 2021.12.30 |
통계 영문자료를 이해하기 위한 통계 용어와 해석 모음(지속적 업데이트) (0) | 2021.12.02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