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실험 (experiment)
무한히 반복할 수 있는 임의의 절차를 '실험' 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experiment 입니다. 예를들면 주사위 던지기, 동전던지기 등이 있습니다.
2) 시행 (trial)
실험을 실제로 수행하는 것을 시행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trial 입니다. 실험과 시행을 같은 의미로 쓰기도 합니다.
3) 표본공간 (sample space)
표본공간은 실험을 시행하여 나올 수 있는 모든 가능한 결과의 집합입니다. 주사위를 던진다고 하면 {1,2,3,4,5,6}이 표본공간이고, 동전을 던진다고 하면 {H,T} 이 표본공간입니다.
동전을 두개 던질 때의 표본공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HH,TT,HT,TH}
4) 사건 (event)
사건은 표본공간의 부분집합입니다. 사건은 우리가 정의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동전을 두번 던지는 시행에서 아래와 같은 사건을 정의할 수 있습니다.
"앞면이 한번 나오는 사건"
이때 표본공간은 {HH,TT,HT,TH} 이고, 위 사건은 {HT,TH} 입니다.
5) 원소 (element, sample outcome, realization)
표본공간의 원소입니다. 여러 표현방법이 있다는 것을 기억합시다. realization 이라는 단어가 가장 생소할 텐데, 표본공간에 있던 원소가 실제화 된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예를들면 동전을 두번 던져서 실제(real)로 HH 가 나온 것이죠.
반응형
'@ 통계학 석박사 진학관련 > 수리통계학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리통계학] #11. 단조증과 단조감소 집합의 확률 (2) | 2021.02.26 |
---|---|
[수리통계학] #10. 합집합의 확률 공식을 수식으로 증명(집합3개) (0) | 2021.02.26 |
[수리통계학] #9. 합집합의 확률 공식을 수식으로 증명(집합2개) (2) | 2021.02.26 |
[수리통계학] #8. 확률분포의 수학적 정의 (확률의 공리) (0) | 2021.02.26 |
[수리통계학] #6. 순열과 조합 (0) | 2021.02.24 |
[수리통계학] #5. 집합의 단조증가, 단조감소 (0) | 2021.02.22 |
[수리통계학] #4. 교환법칙, 결합법칙, 분배법칙 영단어 (0) | 2021.02.19 |
[수리통계학] #3. 합집합,교집합,여집합,배반집합,부분집합 영단어 (0) | 2021.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