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두 사람 A와 B가 있습니다. 어떤 측정을 하는데, 한 사람당 두번 반복했다고 합시다.
측정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네가지가 생깁니다.
A1,A2,B1,B2
모두 같은 대상을 측정한 데이터입니다.
1. 측정자 간 신뢰도 (inter-rater reliability)
측정자 간 신뢰도는 아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A1,A2] vs [B1,B2]
ICC(2,1)를 주로 사용합니다.
2. 측정자 내 신뢰도 (intra-rater reliability)
측정자 내 신뢰도는 아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A1 vs A2
B1 vs B2
ICC(3,1)을 주로 사용합니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and-Altman 플롯 쉽게 이해하기 (0) | 2025.03.21 |
---|---|
오즈비 95% 신뢰구간 직접 구하는 방법 (0) | 2023.12.15 |
마르코브 연쇄 쉽게 이해하기 (0) | 2023.11.09 |
자기회귀모델 (Autoregressive model) 쉽게 이해하기 (0) | 2023.11.06 |
다중공선성 확인하는 방법 (분산팽창요인 VIF) (0) | 2023.10.30 |
표준화 회귀계수가 뭔가요? (0) | 2023.10.25 |
다중회귀분석에서 왜 수정된 결정계수를 사용하는가? (0) | 2023.10.24 |
표본 크기가 커지면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문제 (0) | 2023.09.19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