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의 목적은 오즈비의 의미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계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데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분할표가 있다고 합시다.
disease | non-disease | |
exposed | a | b |
non-exposed | c | d |
오즈비는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
OR=a/bc/dOR=a/bc/d
오즈비의 신뢰구간을 구하기 정규분포를 가정해야합니다. 먼저 로그오즈비를 아래와 같이 정의합니다. 오즈비에 로그를 씌운 형태입니다.
L=log(a/bc/d)
로그오즈비가 근사적으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합니다. 이때 표준오차는 아래와 같이 근사적으로 계산됩니다.
SE=√1a+1b+1c+1d
로그오즈비의 신뢰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95% CI of L = (L−1.96SE,L+1.96SE)
오즈비의 신뢰구간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eL−1.96SE,eL+1.96SE)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Bland-Altman 플롯 쉽게 이해하기 (0) | 2025.03.21 |
---|---|
두사람이 데이터를 두번씩 측정했다면 ICC는 어떻게 비교해야 할까? (1) | 2024.10.23 |
마르코브 연쇄 쉽게 이해하기 (0) | 2023.11.09 |
자기회귀모델 (Autoregressive model) 쉽게 이해하기 (0) | 2023.11.06 |
다중공선성 확인하는 방법 (분산팽창요인 VIF) (0) | 2023.10.30 |
표준화 회귀계수가 뭔가요? (0) | 2023.10.25 |
다중회귀분석에서 왜 수정된 결정계수를 사용하는가? (0) | 2023.10.24 |
표본 크기가 커지면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문제 (0) | 2023.09.19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