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Q&A/통계 Q&A (영상)

[통계 Q&A] 유의 수준이 5%일때, 양측검정이면 유의수준이 2.5% 인가요?

by bigpicture 2022. 8. 21.
반응형

 

 

Q) 유의 수준이 5%일때, 양측검정이면 유의수준이 2.5% 인가요? 

 

A) 아닙니다. 양측검정이어도 유의수준은 5% 입니다. 

 

모집단에서 표본을 하나 뽑는 상황을 가정합시다. 모집단의 평균은 μ이고 분산은 σ2 입니다. 크기가 50인 표본을 하나 뽑았습니다. 방금 뽑은 표본의 평균을 X¯1이라고 놓겠습니다. 표본의 크기가 50인 표본들은 아래 분포를 따릅니다 .

 

X¯N(μ,σ250)

 

표본을 뽑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사실입니다. 수학적으로 유도되었고 이를 중심극한정리라고 부릅니다. 표본평균 X¯1 은 이 분포 위의 한 점입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모집단의 평균이 7이라고 알려진 상황에서, 이러한 주장이 사실인지 검정하는 상황을 가정합시다.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은 아래와 같습니다. 유의수준은 5%로 놓겠습니다. 

 

귀무가설 : μ=7

대립가설 : μ7

유의수준 : α=5

 

양측검정이므로 기각역은 양쪽 꼬리 모두에 나타납니다. 전체 기각역이 5% 이므로 각각 2.5%씩 나눠 갖습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아마 이 대목에서 질문을 하신 것 같습니다. p값을 구해서 2.5%와 비교하기 때문에 유의수준이 2.5%가 되는 것이 아니냐는 질문을 하신 것 같습니다. 답변은 '아니오'입니다. 양측검정이어도 유의수준은 5% 입니다. 유의수준은 기각역 전체의 넓이를 의미합니다. 5%가 양쪽으로 나눠지더라도 기각역 전체 넓이는 여전히 5% 입니다. 

 

양측검정의 경우 비교는 2.5% 와 합니다. p값을 구하고 2.5% 와 비교하여 기각 여부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의 p값이 0.02가 나왔다면 0.025와 비교하면 됩니다. 

 

0.02 vs 0.025

 

그런데 R이나 SPSS 에서는 양측검정의 p값에 2를 곱하여 출력해줍니다. 양측검정도 0.05와 비교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위 예시에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비교가 됩니다. 양변을 두배한 것입니다. 

 

0.04 vs 0.05

 

따라서 R이나 SPSS에서 계산된 p값은 단측이던 양측이던 신경 쓰지 않고 0.05와 비교하시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