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Q) 표본표준편차와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는 다른것인가?
A) 네 다릅니다.
모집단에서 표본을 뽑는 상황을 가정해봅시다. 평균이 μ이고 분산이 σ2인 모집단에서 표본을 뽑았습니다. 이 표본을 표본 1이라고 합시다. 표본의 원소는 (1,2,3) 이 뽑혔습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표본표준편차
표본1의 평균을 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E[X1]=1+2+33=2
표본1의 분산은 아래와 같이 구합니다. 분산은 표본 원소의 제곱의 평균 빼기 평균의 제곱을 계산하면 됩니다.
V[X1]=1+4+93−22=23
표본1의 표준편차는 분산에 루트를 씌워서 구하면 됩니다.
σ[X1]=√32=√63
방금 구한 값이 표본의 표준편차입니다.
표본평균의 표준편차
표본을 더 많이 뽑아봅시다. 표본2, 표본3, ..., 표본 k 까지 뽑았습니다.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습니다.

각 표본의 평균을 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표본 1의 평균 : E[X1]
표본 2의 평균 : E[X2]
...
표본 k의 평균 : E[Xk]
이 평균들의 평균을 구할 수 있습니다. 표본을 무한이 많이 뽑았다고 가정하면 표본평균들의 평균은 모평균인 μ와 같아집니다. 표본평균들을 가지고 분산도 구할 수 있습니다. 표본을 무한히 많이 뽑았다고 가정하면 표본평균들의 분산은 모분산을 표본크기로 나눈 값인 σ2n과 같아집니다. 이 값이 루트를 씌우면 표본평균의 표준편차가 됩니다.
반응형
'@Q&A > 통계 Q&A (영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 Q&A] 표본을 하나만 뽑았는데 어떻게 분포를 가정할 수 있나요? (중심극한정리) (0) | 2022.09.07 |
---|---|
[통계 Q&A] 유의 수준이 5%일때, 양측검정이면 유의수준이 2.5% 인가요? (0) | 2022.08.21 |
[통계 Q&A] 표본추출 문제 대표유형 풀이 (0) | 2021.03.30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