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변수 X가 평균이 이고, 분산이 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합시다. 기호로는 아래와 같이 나타냅니다.
변수 X에 상수를 곱한 aX는 어떤 분포를 따르는지 알아봅시다. a는 양수라고 가정합시다. aX를 확률변수 Y라고 놓겠습니다.
Y의 누적분포함수는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aX=Y 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변형합시다.
a의 범위에 따라 둘로 나뉩니다.
a가 양수인 경우
부등식의 양변을 a로 나눠줍니다.
X의 누적분포함수를 F(x)라고 놓는다면 아래 등식을 얻습니다.
양변을 미분합시다.
f(x)는 정규분포의 확률분포함수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정리해줍시다.
우변은 평균이 이고, 표준편차가산이 인 정규분포입니다.
a가 음수인 경우
부등식의 양변을 a로 나눠줍니다. 부등호 방향이 바뀝니다.
X의 누적분포함수를 F(x)라고 놓는다면 아래 등식을 얻습니다.
양변을 미분합시다.
f(x)는 정규분포의 확률분포함수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변형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정리해줍시다.
우변은 평균이 이고, 표준편차가 인 정규분포입니다.
요약
아래와 같이 a에 절댓값을 씌워주면 a가 음수인 경우와 양수인 경우의 분포를 하나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습니다.
확률변수 X가 아래 분포를 따른다고 하자,
이때 확률변수 aX의 분포는 아래와 같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t검정 대신 상관분석을 쓸 수 있다고? (0) | 2022.08.21 |
---|---|
통계적 유의차가 있다고 의미있는 차이일까 (0) | 2022.07.22 |
n이 커지면 정규분포로 근사시킬 수 있는 분포들 (0) | 2022.07.21 |
p 값이 0.05 일 때 Z는 얼마일까 (0) | 2022.07.20 |
신뢰구간과 신뢰수준의 진짜 의미 (5) | 2022.07.16 |
머신러닝 책 두권 무료로 다운로드 받는 방법 (스텐포드) (2) | 2022.07.10 |
자른평균이 뭐죠? 왜 사용하나요?? (trimmed mean) (0) | 2022.07.10 |
F test (F검정) 은 도데체 언제 쓰는걸까?? (2) | 2022.07.09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