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왜도란 무엇인가?
2. 피어슨의 정의
3. 왜도의 부호
4. 왜도와 적률
5. 왜도와 누율
6. 평균, 중앙값, 최빈값의 위치
7. 왜도 0이면 항상 대칭일까?
8. 표본의 왜도
9. 또 다른 정의들
왜도를 누율로 표현해볼 것입니다. 누율이 무엇인지 모르는 분들은 누율의 이해 강의를 먼저 읽고 오시면 됩니다.
피어슨이 정의한 왜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와 같이 분자와 분모를 나눠서 써줍시다.
표준편차는 분산의 제곱근이므로 아래와 같이 바꿔쓸 수 있습니다.
2차 누율과 3차 누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왜도 식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반응형
'@ OO의 이해 > 왜도(Skewness)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도의 이해] 4. 왜도와 적률 (0) | 2021.08.10 |
---|---|
[왜도의 이해] 3. 왜도의 부호 (0) | 2021.08.10 |
[왜도의 이해] 2. 피어슨의 정의 (0) | 2021.08.09 |
[왜도의 이해] 1. 왜도란 무엇인가? (0) | 2021.08.08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