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OO의 이해/누율(Cumulant)의 이해

[누율의 이해] 1. 누율(Culumant)이란 무엇인가?

by bigpicture 2021. 8. 11.
반응형

통계학에서 등장하는 개념인 누율에 대해 공부해볼 것입니다. 아래 목차를 예상합니다. 

1. 누율이란 무엇인가?
2. 누율생성함수 계산하기
3. 1차,2차 누율

4. 3차 누율

5. 고차 누율
6. 왜 굳이 정의했나? 
7. 결합누율


누율이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누율은 적률 대신 사용할 수 있는 값입니다. 적률이 있는데 누율을 굳이 정의한 이유는 누율을 이용하여 계산하는게 더 편한 상황이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누율은 독특한 방법으로 정의됩니다. 직접적으로 정의되는게 아니라 적률을 거쳐야만 정의될 수 있습니다. 아래 과정을 통해 정의됩니다.

적률생성함수 -> 누율생성함수 -> 누율

적률생섬함수를 이용하여 누율생성함수가 정의되고, 누율생성함수에서 누율이 정의됩니다. 누율보다 누율생성함수가 먼저 정의된다는 특징을 갖습니다. 

적률생성함수에서 출발합시다. 적률생성함수는 아래와 같습니다. 

$M_{X}(t)=E\left ( e^{Xt} \right )$

적률생성함수를 t로 n번 미분하여 0을 넣으면, n차 적률인 $E(X^{n})$이 생성됩니다. 적률생성함수를 설명하는 글은 아니지만, 내용과 관련이 있으니 그 이유도 알아봅시다. 

$e^{Xt}$를 테일러급수를 이용하여 다항함수로 바꿀 수 있습니다. a=0 에서 테일러급수를 적용하겠습니다. 이를 매클로린급수라고 부릅니다.

$e^{Xt}=\frac{1}{0!}+\frac{t}{1!}x+\frac{t^{2}}{2!}x^{2}+\cdots $

적률생성함수 식에 대입합시다. 

$M_{X}(t)=E\left [ \frac{1}{0!}+\frac{t}{1!}x+\frac{t^{2}}{2!}x^{2}+\cdots  \right ]$

아래와 같이 분리해서 쓸 수 있습니다. 

$M_{X}(t)=\frac{1}{0!}+E\left [ X \right ]\frac{t}{1!}+E\left [ X^{2} \right ]\frac{t^{2}}{2!}+E\left [ X^{3} \right ]\frac{t^{3}}{3!}+\cdots $

t로 한번 미분해봅시다. 

$\frac{dM_{X}(t)}{dt}=E\left [ X \right ]+E\left [ X^{2} \right ]t+E\left [ X^{3} \right ]\frac{t^{2}}{2!}+\cdots$

t자리에 0을 넣으면 아래와 같이 1차적률이 나옵니다. 

$\frac{dM_{X}(0)}{dt}=E\left [ X \right ]$

나머지도 같은 원리입니다. 적률생성함수를 다시 봅시다. 

$M_{X}(t)=E\left ( e^{Xt} \right )=\frac{1}{0!}+E\left [ X \right ]\frac{t}{1!}+E\left [ X^{2} \right ]\frac{t^{2}}{2!}+E\left [ X^{3} \right ]\frac{t^{3}}{3!}+\cdots $

 

아래와 같이 시그마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 

 

$M_{X}(t)=E\left ( e^{Xt} \right )=\sum_{k=0}^{\infty}E\left [ X^{k} \right ]\frac{t^{k}}{k!}$

 

k차 적률을 $\mu_{k}$라고 놓겠습니다. 

 

$M_{X}(t)=E\left ( e^{Xt} \right )=\sum_{k=0}^{\infty}\mu_{k}\frac{t^{k}}{k!}$

적률생성함수에 자연로그를 취한 함수를 '누율생성함수'로 정의합니다.

 

$K_{X}(t)=\ln M_{X}(t)=\ln E\left ( e^{Xt} \right )$

 

n차 누율은 n차 적률과 같은 원리로 정의됩니다. n차 적률은 적률생성함수를 n번 미분하고 t에 0을 넣은 값이었습니다. n차 누율은 누율생성함수를 n번 미분하고 t에 0을 넣은 값입니다. 기호로는 카파를 사용합니다. 

 

$\kappa _{n}=K^{n}(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