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건 A가 발생할 확률을 P(A)라고 할 때, P(A)를 해석하는 두가지 관점이 있습니다.
1. 확률을 "빈도"로 해석 (빈도주의)
시행을 반복했을 때, A가 참인 경우의 장기적인 비율. 쉽게 말하면 시행을 무한히 반복한다고 가정했을 때 A가 나온 비율의 수렴값. 더 쉽게 말하면 동전을 무한히 던졌을 때 앞면이 나온 비율.
2. 확률을 "믿음의 정도"로 해석 (베이지안)
P(A)는 A가 참일것이라는 관찰자의 믿음의 정도. 쉽게 말하면 시행에서 A가 나올 것이라 믿는 믿음의 정도. 더 쉽게 말하면 동전을 던질 때 앞면이 나올 것이라는 확신이 어느정도 있는가를 수치화 시킨 것.
두 관점은 추론에 대한 두 학파를 만들어냄. 빈도주의 학파(frequentist school)와 베이지안 학파(bayesian school)임.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성의 의미 (통계학 vs 신뢰성공학) (0) | 2021.01.06 |
---|---|
로그정규분포는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가 (0) | 2021.01.05 |
20세기 후반 가장 위대한 3명의 통계학자 (0) | 2021.01.01 |
0!은 어떻게 1로 정의된걸까 (6) | 2020.12.28 |
통계/빅데이터 관련 자격증 정리 (0) | 2020.12.23 |
통계학의 분류 (0) | 2020.12.01 |
표본추출방법 총정리 (0) | 2020.09.29 |
mean vs average vs expected value (구분 가능?) (1) | 2020.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