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표본추출방법 총정리
표본추출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확률추출법과 비확률추출법입니다. 확률추출법은 객관적이고 수학적인 방식이고, 비확률추출법은 조사자의 주관이 개입된 방식입니다.
확률추출법에는 아래 7가지가 있습니다.
1. 단순임의추출법 (simple random sampling)
- 난수를 발생시켜 표본추출
2. 계통추출법 (systematic sampling)
- 간격 k를 정하고, k보다 작은 번호에서 출발함. k간격으로 표본을 추출함.
3. 층화임의추출법 (stratified random sampling)
- 모집단을 여러 층(ex. 성별, 나이 등)으로 나눈 뒤, 각 층에 단순임의추출법 적용
- 성별(남,녀)과 나이(10,20,30,40대)로 나눈 경우, 총 2x4=8 개의 층이 생성됨
4. 군집(집락)추출법
- 모집단을 개체간 동질적인 군집으로 나눔
- 경기도에 있는 중학생을 조사한다고 할 때, 각 중학교가 군집이 됨.
5. 다단계추출법
- 집락 추출법을 여러번 적용
6. 확률비례추출법
- 집락의 크기 별로 표본의 크기를 다르게 추출
7. 층화 다단추출법
- 층화추출법을 여러번 적용
비확률추출법에는
1. 간편 추출법
- 조사원 마음대로
2. 판단추출법
- 조사원 지식과 경험대로
3. 할당추출법
- 모집단의 구성비율과 표본의 구성비율이 유사하돌고 표본선정
4. 눈덩이 추출법
- 지인으로 시작해서 지인의 지인으로 표본을 확대해나감
약간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추후 보완.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0!은 어떻게 1로 정의된걸까 (6) | 2020.12.28 |
---|---|
확률을 해석하는 두가지 관점 (빈도주의 vs 베이지안) (0) | 2020.12.28 |
통계/빅데이터 관련 자격증 정리 (0) | 2020.12.23 |
통계학의 분류 (0) | 2020.12.01 |
mean vs average vs expected value (구분 가능?) (1) | 2020.09.24 |
IBM에서 제공하는 무료 데이터사이언스 강의 사이트 (1) | 2020.09.21 |
표본의 크기를 계산하는 검정력분석 (G power 소프트웨어) (0) | 2020.08.27 |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의 표본수 선정 (0) | 2020.08.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