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본의 크기를 계산하는 검정력분석 (G power 소프트웨어)
검정력분석(power analysis)는 표본의 크기를 결정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검정력을 이용하여 표본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검정력은 1-β 입니다. β는 2종오류입니다. 2종오류는 귀무가설이 거짓임에도 귀무가설을 기각시키지 않을 확률입니다. 검정력이 커진다는 것은 2종오류가 작아지는 것을 의미합니다.
검정력 분석은 일정 값 이상의 검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표본의 크기를 구하는 것입니다. 이미 조사가 진행된 후라면, 현재 가지고 있는 자료들의 검정력을 구하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검정력분석을 해주는 무료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 G power라는 소프트웨어입니다. 독일의 한 대학에서 개발하여 배포한 소프트웨어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psychologie.hhu.de/en/research-teams/cognitive-and-industrial-psychology/gpower.html
같은 링크에서 메뉴얼과 튜토리얼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스크롤을 내리다 보면 Help 가 나오는데, Help 아래에 메뉴얼과 튜토리얼 다운로드 링크가 있습니다.
검정방법은 아래의 다섯가지를 제공합니다.
1) Exact
2) F test
3) t test
4) 카이제곱
5) z test
검정력분석의 타입을 정해야하는데요. 5가지 타입을 제공하는데, 그 중 2가지가 주로 사용됩니다.
a priori: 실험 혹은 조사 전에 필요한 표본의 크기를 계산
post hoc : 이미 실험 혹은 조사된 자료의 검정력을 계산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학의 분류 (0) | 2020.12.01 |
---|---|
표본추출방법 총정리 (0) | 2020.09.29 |
mean vs average vs expected value (구분 가능?) (1) | 2020.09.24 |
IBM에서 제공하는 무료 데이터사이언스 강의 사이트 (1) | 2020.09.21 |
반복측정 분산분석에서의 표본수 선정 (0) | 2020.08.26 |
통계분석 전에 상자수염그림을 그려봐야 하는 이유 (0) | 2020.08.25 |
모비율의 추정 간단 설명 (0) | 2020.08.04 |
상관분석은 언제쓰는걸까 (0) | 2020.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