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래와 같은 교차표가 있다고 합시다. Oij 는 i행j 열의 값입니다. O는 Observed value(관측값)을 의미합니다.
1열 | 2열 | ... | n열 | Total | |
1행 | O11 | O12 | ... | O1n | R1 |
2행 | O21 | O22 | ... | O2n | R2 |
Total | C1 | C2 | ... | Cn | N |
아래는 기대빈도입니다.
1열 | 2열 | ... | n열 | Total | |
1행 | C1*(R1/N) | C2*(R1/N) | ... | Cn*(R1/N) | R1 |
2행 | C2*(R2/N) | C2*(R2/N) | ... | Cn*(R2/N) | R2 |
Total | C1 | C2 | ... | Cn | N |
기대빈도는 Expected Value의 첫글자를 따서 Eij로 표현합시다.
1열 | 2열 | ... | n열 | Total | |
1행 | E11 = C1*(R1/N) | E12 = C2*(R1/N) | ... | E1n = Cn*(R1/N) | R1 |
2행 | E21 = C2*(R2/N) | E22 = C2*(R2/N) | ... | E2n = Cn*(R2/N) | R2 |
Total | C1 | C2 | ... | Cn | N |
검정 통계량과 자유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χ2=∑∑(Oij−Eij)2Eij
DOF=(Rn−1)(Cn−1)
반응형
'@한눈에보기 > 검정통계량' 카테고리의 다른 글
Tukey 사후분석의 검정통계량 (0) | 2021.09.03 |
---|---|
Levene's test 의 검정통계량 (등분산검정) (0) | 2021.09.01 |
F 검정의 검정통계량 (0) | 2021.08.31 |
분산분석 수식으로 이해하기 (검정통계량 구하기) (0) | 2021.06.01 |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검정통계량 수식 (0) | 2021.03.19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