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뢰도와 신뢰구간에 대한 내용은 고등학교 확률과 통계 과목에서 배웁니다. 자세한 내용은 뒤에서 다루기로 하고, 오늘은 신뢰도와 신뢰구간을 공부할 때 흔히 하는 오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평균이 얼마인지 모르는 모집단에서 크기가 인 표본을 뽑았습니다. 표본 평균을 구하니 였습니다. 모집단의 평균은 , 모집단의 표준편차는 라고 놓겠습니다. 놀랍게도, 모집단의 표준편차는 알려져 있는 상황입니다.
모평균을 구간추정할 때, 신뢰도 95%인 신뢰구간과 신뢰도 99%인 신뢰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여기서 흔히 하는 오해가 등장합니다. 신뢰구간을 아래와 같이 이해하는 것입니다.
"모 평균이 위 범위 안에 있을 확률이 95%(또는 99%) 이다."
이렇게 이해하고 계셨다면 잘못 이해하신 겁니다. 또는 아래와 같은 이해도 잘못됐습니다.
"위 구간이 모평균을 포함할 확률이 95%(또는 99%)이다.
앞으로 이러한 오해를 풀어보도록 합시다.
반응형
'@ OO의 이해 > 신뢰도와 신뢰구간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도와 신뢰구간의 이해] 4. 신뢰도가 높으면 좋은걸까? (0) | 2022.06.03 |
---|---|
[신뢰도와 신뢰구간의 이해] 3. 예시 1 - 모집단과 표본추출 (5) | 2021.05.24 |
[신뢰도와 신뢰구간의 이해] 2. 오해 풀기 (4) | 2021.05.20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