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계학에서의 신뢰성
통계학에서의 신뢰성은 크게 두가지가 있습니다. 측정의 신뢰성과, 내적 일관성입니다.
반복 측정의 신뢰성 : 만약 어떤 대상을 측정 할 때마다 값이 바뀐다면 측정의 신뢰성이 없는 것입니다. 측정의 신뢰성이 높다는 것은 어떤 측정 결과가 일관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ex. ICC)
내적 일관성 : 설문 문항에서 항목들 사이의 일관성 또는 동질성의 정도를 말합니다. 상관관계가 높을 수록 내적 일관성이 높은 것입니다. (ex 크론바흐 알파)
신뢰성공학에서의 신뢰성
시스템이 주어진 사용조건 아래에서 의도된 임무기간동안 고유의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 (고장발생 없이) 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성질(확률).
쉽게 말하면 "제품이 고장나지 않을 확률" 입니다. 신뢰성을 측정하는 측도로는 신뢰도함수, 고장률, 평균고장시간, 평균고장간격 등이 있습니다.
신뢰도 함수 : 주어진 시점 t 까지 제품이 고장나지 않을 확률
고장률 : t시점까지 고장이 나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t시점에 고장이 발생할 확률밀도.
평균고장시간 : 고장날 때 까지의 평균 시간
평균고장간격 : 고장과 고장 사이의 평균 시간
수명분포 모델링에는 아래 함수들이 사용됩니다.
- 지수분포
- 와이블분포
- 감마분포
- 정규분포
- 로그정규분포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산분석에는 왜 사후검정이 있나요? (1) | 2021.02.27 |
---|---|
통계적 가설검정과 귀류법 (통계적 가설검정 쉽게 이해하기) (0) | 2021.02.27 |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과목별 교제명 (0) | 2021.02.18 |
분산분석 선택 방법(독립,종속,모수,비모수 고려) (0) | 2021.01.06 |
로그정규분포는 무엇이고 왜 사용하는가 (0) | 2021.01.05 |
20세기 후반 가장 위대한 3명의 통계학자 (0) | 2021.01.01 |
0!은 어떻게 1로 정의된걸까 (6) | 2020.12.28 |
확률을 해석하는 두가지 관점 (빈도주의 vs 베이지안) (0) | 2020.12.28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