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크기가 다른 두 데이터의 Q-Q plot을 그려봅시다. 먼저 두 데이터를 생성합시다.
Data1 : 24, 28, 37, 43, 46
Data2 : 15, 18, 23, 33, 45, 48, 50두 데이터 각각의 확률-분위수 그래프를 먼저 그리겠습니다. 몇 번 type으로 그릴지를 정해야합니다. 어떤 타입도 선택할 수 있는데 type7로 하겠습니다(R의 디폴트입니다). 그래프를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개수가 적은 쪽에 맞춰서 대응시킵니다. Data1의 데이터에 대응되는 확률은 0, 0.25, 0.5, 0.75, 1입니다. 이 확률에서의 분위수 값을 Data2그래프에서 찾으면 됩니다. 계산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5, 20.5, 33, 46.5, 50
Data1과 2의 분위수를 이용하여 Q-Q plot을 그려봅시다.
반응형
'@선택과목2 > 삭제강의(정규성검정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규성검정 KS test (2) Nikolai Smirnov (0) | 2018.11.26 |
---|---|
정규성검정 KS test (1) Andrey Kolmogorov (0) | 2018.11.24 |
Q-Q plot 그리는 법 (5) 정규분포와의 비교 (3) | 2018.11.18 |
Q-Q plot 그리는 법 (3) 크기가 같은 두 데이터의 Q-Q plot (0) | 2018.11.13 |
Q-Q plot 그리는 법 (2) 원리 (0) | 2018.11.12 |
Q-Q plot 그리는 법 (1) 역누적분포함수 (0) | 2018.11.08 |
분위수 구하는 9가지 방법을 공부한 이유 (0) | 2018.11.06 |
분위수(Quantile)를 구하는 9가지 방법(#11. Type9 방법) (0) | 2018.11.06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