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로 독립인 두 집단의 평균을 비교하는 독립표본 t검정을 한다고 합시다. 평균의 차이가 클수록 p값이 작아져서 두 집단 평균 차이가 유의하게 나올 것입니다. 하지만 p값에 영향을 주는 것은 표준편차도 있습니다. t통계량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분산인 경우의 t통계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T=ˉX1−ˉX2√s21N1+s22N2
각 집단의 표준편차가 작아지면 t값의 절댓값이 커지게 되고, p값은 작아지게 됩니다. 이 대목에서 왜 p 값이 작아지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분들을 위해서 부연설명을 드리겠습니다. t값의 절댓값이 커진다는 것은 분포 상에서 더 극단적인 쪽으로 t값이 이동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더 극단적인 쪽으로 이동하면 p값은 작아집니다. 아래 그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재밌는(?)일이 벌어집니다. 아래 세 집단을 봅시다.
집단 A (평균 10, 표준편차 10)
집단 B (평균 12, 표준편차 1)
집단 C (평균 13, 표준편차 100)
t검정을 해보면 A와 C는 유의차가 없게 나오고, A와 B는 유의차가 있게 나옵니다. 이상하죠? A와 C의 평균 차이가 더 큰데 말입니다. 표준편차 때문에 벌어진 일입니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외우는 법 (1) | 2022.12.27 |
---|---|
비복원추출인 경우 표본평균의 평균과 분산 (유도링크 추후 보완예정) (3) | 2022.12.20 |
표본평균의 분포는 정말 정규분포가 될 수 있을까 (2) p 값 비교 (0) | 2022.09.16 |
표본평균의 분포는 정말 정규분포가 될 수 있을까 (1) 그래프 비교 (0) | 2022.09.16 |
t검정 대신 상관분석을 쓸 수 있다고? (0) | 2022.08.21 |
통계적 유의차가 있다고 의미있는 차이일까 (0) | 2022.07.22 |
n이 커지면 정규분포로 근사시킬 수 있는 분포들 (0) | 2022.07.21 |
p 값이 0.05 일 때 Z는 얼마일까 (0) | 2022.07.20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