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험에는 대조군이 있어야 어떤 효과를 입증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과학실험들은 항상 대조군과 함께 진행합니다.
예를들어 신약의 효과를 실험한다고 할 때, 실험군만으로 실험을 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일어난 변화가 약의 효과인지 아니면 시간이 흘러 저절로 일어난 일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실험군과 같은 조건의 대조군을 설정하고 비교하는 방식으로 결과를 입증합니다. 약을 투여한 실험군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났지만 대조군에서는 그렇지 않았다는 방식으로요.
실험군(experiment group) : 약을 투여
대조군(control group) : 약을 투어하지 않음
(플라시보효과를 상쇄하기 위해 대조군에도 약을 투여하는 척은 함.)
대조군의 종류
대조군에는 두 종류가 있습니다. 양성대조군과 음성대조군입니다.
양성대조군 : 효과가 있다는게 예상되는 대조군입니다. 예를들면 약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효과가 이미 입증된 다른 약을 대조군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실험군과 대조군이 '같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효과가 타당함을 주장할때 사용합니다.
음성대조군 : 효과가 없다는게 예상되는 대조군입니다. 예를들면 약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에서, 약을 투여하지 않은 그룹을 의미합니다. 실험군과 대조군이 '다르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효과가 타당함을 주장할때 사용합니다.
반응형
'@ 통계 교양 > 통계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평균의 추정에서 흔히 하는 오해 (0) | 2021.03.17 |
---|---|
상관계수가 0이라고 관계가 없는게 아니다 (0) | 2021.03.17 |
변수 A,B,C 의 상관관계 (0) | 2021.03.17 |
[통계] 줄기-잎 그림 예시 (0) | 2021.03.16 |
분산분석에는 왜 사후검정이 있나요? (1) | 2021.02.27 |
통계적 가설검정과 귀류법 (통계적 가설검정 쉽게 이해하기) (0) | 2021.02.27 |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과목별 교제명 (0) | 2021.02.18 |
분산분석 선택 방법(독립,종속,모수,비모수 고려) (0) | 2021.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