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시간에 k값을 바꿔가며 민감도와 특이도를 구했습니다.
민감도도 높고 특이도도 높은 k값을 선정해야하는데요. 민감도와 특이도는 서로 trade-off 관계가 있었습니다. 하나가 높아지면 다른 하나가 낮아집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떤 k값으로 정해야 할까요?
해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동일하게 중요하다는 가정을 하고 둘의 합을 최대로 만드는 k값을 찾으면 됩니다. 아래 수식에서 response 를 최대로 하는 k값을 구하는 것입니다.
sensitivity + specificity = response
또는 어느 한쪽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되면, 가중치를 줄 수도 있습니다. 둘의 중요도를 6:4로 설정하였습니다.
sensitivity*0.6 + specificity*0.4 = response
우리는 둘의 합을 최대로 한다고 가정하고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두 값의 합을 최대로 하는 k값은 어떻게 구할까요? 다음시간에 답을 찾아봅시다.
반응형
'@ OO의 이해 > 분할표와 ROC curve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할표와 ROC curve의 이해] 6. ROC curve 그려보기 (2) | 2020.09.15 |
---|---|
[분할표와 ROC curve의 이해] 4. 최적의 진단기준은 어떻게 정할까? (0) | 2020.09.08 |
[분할표와 ROC curve의 이해] 3. 민감도와 특이도 (0) | 2020.09.08 |
[ 분할표와 ROC curve의 이해] 2. 분할표 용어정리 (0) | 2020.09.08 |
[ 분할표와 ROC curve의 이해] 1. 진단키트와 분할표 (0) | 2020.09.07 |
댓글
bigpicture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